2012년 12월 30일 일요일

영화 - 레미제라블, 링컨



연말 연휴동안 두 개의 영화를 봤다.
"레 미제라블"과 "링컨"

"레 미제라블"은 아주 오래 전 한국에서 뮤지컬로 본 적이 있다. 겨울이었던 것 같은데 따뜻한 실내에 앉아 들리지 않는 영어에 집중하느라 피곤에 지친 뇌가 잠시 휴식을 취하느라 잠깐 잠이 들었었다. "레 미제라블" 뮤지컬 얘기가 나올 때마다 아내는 나보고 이런 걸작 뮤지컬을 보러가서 잠잔 인간이라고 사람 취급을 안해줬었다. 1부는 그럭저럭 놓쳐버렸었고 인터미션 이후에 2부는 그래도 제대로 봤다. 환상적인 무대연출은 지금껏 잊혀지지가 않고 마지막 부분의 바리케이트 장면에선 80년대가 떠올라 울컥하기까지 했다. 

좋은 기억으로 남겨진 뮤지컬과 지금 본 영화를 비교하는 것이 공정하지는 않지만 뮤지컬이 한 세 배쯤은 더 좋았던 것 같다.

아무튼, 영화를 보고와서 배경이 된 프랑스 시민 혁명에 대해 궁금해졌다. 루이16세의 목을 쳤던 프랑스 대혁명 이후에도 7월 혁명, 2월 혁명 등 몇 차례 시민 혁명이 더 있었고 그 때마다 목숨을 잃은 사람이 최소 몇 만명 단위다. "레 미제라블"의 배경은 그 중 7월 혁명인 듯 하다. 시민의 권리를 그때마다 피를 쏟아 얻어낸 프랑스는 가히 혁명의 나라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를 돌아봤다. 프랑스 대혁명 때, 조선은 정조말기다. 1800년에 정조가 갑작스럽게 죽고나서는 대원군 집권이전까지 세도정치가 이어진다. 그 이후론 일제강점기를 지나 남과 북에 공화국에 들어서긴 했지만, 시민들이 싸워서 얻어낸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보통선거는 어떤가. 이 또한 주어진 것이지 피로서 얻어낸 것이 아니다. 4.19로 독재자를 권좌에서 물러나게 했지만 그 죄를 단죄하지 못했다. 6.10항쟁으로 직선제를 얻어내긴 했지만 군사정권을 시민의 힘으로 몰아내지 못했다. 죽은자들은 차가운 땅에 누워있는데 학살자들은 천수를 누린다.

어쩌면 우리가 당연히 누려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아직은 우리들에게 과분한 것들인지도 모르겠다.

벌써부터 절망 속에 죽어가는 사람들이 있다. 프랑스의 예를 보더라도 때론 반혁명에 역사가 거꾸로 흐르기도 한다. 하지만 굽이치는 강물처럼 작은 물길들이 합쳐지면서 결국은 바다에 다다르기 마련이다. 길게보고 희망을 노래해야 할 때 인 것 같다.

"링컨"은 "Team of Rivals: The Political Genius of Abraham Lincoln"라는 책을 원작으로하는 영화로 노예제도를 영구적으로 페지하는 수정 헌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링컨을 그렸다. 

정치란 더럽고 추잡스러운 것이라 손가락질 하면서 정치에 무관심한 것이 '쿨'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내 일상을 가장 광범위하게 규정하는 것이 정치를 통해 만들어지고 강제된다는 점을 잊으면 안된다.

영화에서 링컨은 때론 비열한 방법을 동원해가며 수정법안 통과에 필요한 득표를 모으기 위해 민주당 의원들을 '포섭'해간다. 결국은 수정 헌법을 통과시킴으로써 노에제도를 영구히 폐지시키게 된다. 

정치란 것이 선의로만은 되는 것은 아니라는 문재인 후보의 말이 생각난다. 선한 의지와 진심은 그 자체로는 정치의 장에서 완전한 역할을 할 수 없다. 링컨을 권모술수에 능한 정치꾼이라 폄훼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정치란 자신의 의지를 100%관철 시키는 것이 아니라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 타협해서 의지의 일부라도 관철시켜 나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2012년 12월 28일 금요일

Steve Jobs 그리기


유화 그리기를 다시 시작해볼 생각으로 Steve Jobs 스케치를 캔버스 위에 했다. 유화 잉크를 바르면 모두 지워질 운명이라 원래는 살짝 윤곽만 잡는 건데, 하도보니 얼추 '연필로 그리기'가 되어버렸다. 한동안 그리기를 쉬었는데, 쉬는 동안에도 실력이 조금 늘었나보다. 사물을 보는 눈이 조금은 더 예리해진 것 같다. 전에는 바탕에 격자를 그리고 물체의 위치를 잡아주었는데, 이번에는 온전히 그냥 눈대중으로 그려본 것인데, 이전에 했던 것보다 오히려 조금 나아진 것 같다. 아내는 이렇게 하는 편이 오히려 나만의 느낌이 난다며 칭찬을 해준다. 도화지가 아니라 캔버스 위에 연필로 슥슥한 것이라 그런지, 캔버스의 거친 느낌이 그림에 색다른 느낌을 주는 것 같다.

건강

라스베가스와 애틀란타 다녀온 이후로 몸 상태가 더 안좋아 진 것 같다. 조금이라도 급히 먹었다 싶으면 영락없이 체기가 느껴진다. 이렇게 계속되다간 정말이지 몸에 큰 탈이라도 날 것만 같다. 컴퓨터 작업도 거의 하지 않았는데 왼쪽 어께도 결리기 시작했다. 전체적으로 몸 상태가 안 좋아지니까 여기 저기 약한 부분에서 신호를 보내오기 시작하는 것 같다.

새해부터 시작하는 겨울학기에는 어느 때보다 바쁜 학기가 될텐데 일을 또 하나 벌여놓았다. 책을 쓰기로 하고 계약서에 서명을 해서 보내버린 것이다. 계약을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그 스트레스가 점점 더 쌓여갔던 것 같다. 일을 자꾸 쌓아두다보니 계속 생각하고 되고 그것 때문에 다시 또 스트레스 받고 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게다가 내 자신이 마치 테뉴어를 받은 교수마냥 축 처져있다. 아직 갈 길이 먼데 몸과 마음이 많이 지쳐있다.

아내 친구의 조언처럼, 박사 공부할 때 스트레스가 하나의 트라우마처럼 치유되지 않고 내재되어 있으면서 나를 안으로부터 조금씩 갉아먹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치유가 필요하다고 절실히 느낀다.

이제 따뜻한 커피 몇 모금만 마셔도 속이 쓰리다. 일상의 작은 기쁨들을 누릴 수 없게 된 내 자신을 돌아보니 어떡하다가 내 자신에 연민의 정이 드나 마음이 든다. 폭음에 폭식을 해 왔던 것도 아닌데. 생각해보면 정말이지 심리적 외상들이 치유되지 못하고 속으로 곪아왔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오늘부터라도 내 자신의 치유에 힘써보도록 하자. 마음의 치유.

2012년 12월 8일 토요일

헌틀아리 미주 모임


미국에 오고 나서 처음으로 멤버들이 헌틀아리 이름으로 모였다. 헌틀아리는 한틀아리 졸업생 모임의 이름이다. 병주나 석영이 따로 따로 만난 적은 있지만 이렇게 다 같이 모여보기는 처음이다.

라스베가스에서 너무도 건전한 밤을 보내고 왔지만 그래도 오래된 벗이 좋기는 좋다. 되지도 않는 논쟁에 몇 시간 씩을 보내도 얼굴 한번 붉혀지지 않는다.

서로 사는 지역도 다르고 처한 상황도 달라 날짜 맞추기가 쉽지가 않지만, 가능하다면 일년에 한 번 정도는 정기적으로 모였으면 하는 바램이다.